DB Connection Pool 과 WAS(Tomcat) 1. 커넥션풀(DBCP) 사용 이유 - 서버는 동시 정해진 동시접속자 수를 벗어날 경우 에러(예외)가 발생한다. 예외가 발생된 접속자는 더이상 처리를 할 수 없으므로, 사이드를 재 접속해야하는 불편함이 발생한다. - JDBC를 통하여 DB에 연결하기 위해서는 드라이버(Driver)를 로드하고 커넥션(connection) 객체를 받아와야 한다. - JDBC를 사용하면 사용자가 요청을 할 때마다 매번 드라이버를 로드하고 커넥션 객체를 생성하여 연결하고 종료하기 때문에 매우 비효율적이다. - 이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커넥션풀(DBCP)를 사용한다. 2. 커넥션풀(DBCP) - 웹 컨테이너가 실행되면서 커넥션(connection) 객체를 미리 풀(pool)에 생성해 둡니다. - DB와 연결된 커넥션(conn.. Servlet&JSP 5년 전
[Tomcat / Oracle]DB 연동하기 수 많은 connection이 동시에 이루어지기때문에 connection 관리는 WAS 에서 connection pool로 관리한다. 우리는 톰캣서버를 이용하기 때문에 톰캣에 맞는 connection 설정을 해주어야한다. http://tomcat.apache.org/tomcat-8.5-doc/jndi-datasource-examples-howto.html 우리는 오라클 db를 사용할 것이기 때문에 위의 톰캣 사이트에서 'Oracle 8i, 9i & 10g' DB 연동하기 위한 설정 부분을 참고한다. 이로써 설정은 완료 되었다. 아래는 connection 객체를 얻어오는 샘플 코드이다. 프로젝트에 DbcpBean 이라는 클래스를 만들고 connection 객체를 저장할 필드, new예약어로 객체를 생시 c.. Servlet&JSP 5년 전
JAVA와 Web 웹에서의 자바 기술 서블릿과 JSP는 웹에서 실행되는 애플리케이션 기술이다. 웹에서 사용되고 활용되어온 자바 기술의 종류와 기능에 대해서 알아보자 애플릿(Applet) 초창기 웹은 정적인 페이지만 보여줄 수 있었다. 그러다 애플릿이 등장하면서 간단한 기능들을 동적으로 보여 줄 수 있게 되었다. 애플릿은 서버에서 클라이언트 쪽으로 실행 파일을 내려 받아 실행되는 방식으로 작동한다. 자바가 급성장하는데 큰 기여를 하였다. 현재는 HTML5, CSS, jQuery 등의 기술이 애플릿을 대신해서 사용되고 있다. 서블릿(Servlet) 클라이언트가 웹 브라우저를 통해 요청하면 서버에서 실행한 후 결과 값만 클라이언트로 전송한다. HTTP 프로토콜로 통신하는 웹의 특징과 속성들을 자유롭게 활용할 수 있는 API를 .. Servlet&JSP 5년 전